본문 바로가기

멜론12

스포티파이 한국 시장 진출 선언 스포티파이 한국 시장 진출 선언 스포티파이 한국 시장 진출 선언스웨덴 음원서비스 업체 스포티파이가 한국 시장에 진출했다. 스포티파이와 접촉을 했고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고 한다. "드디어 한국에도 들어오는구나" 라는 생각과 동시에 "애플뮤직처럼 카카오M에서 음원을 제공받지 못하지 않을까" 라는 생각도 든다. 스포티파이는 홍콩,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일본, 대만, 필리핀 등 아시아 국가들에 진출한 상태이지만 미국, 유럽에서 높은 점유율을 기록한 것과 달리 고전하고 있다. 일본은 여전히 다운로드 시장의 규모가 상당하며 (2018년에서야 스밍이 다운 매출을 넘었다. 출처) 그 외 아시아 국가들은 구매력이 낮고 신용카드 사용자 비율이 적기 때문이다. (스트리밍은 매월 결제가 되어야 하기 때문) 그렇기에 한국은.. 2019. 3. 18.
BUGS 벅스 MP3 노래 다운로드 하기 BUGS 벅스 MP3 노래 다운로드 하기 BUGS 벅스 MP3 노래 다운로드 하기멜론, 벅스, 지니, 엠넷은 스트리밍 서비스를 지원하면서도 여전히 mp3 다운로드를 지원한다. 그 중에서 벅스는 타 음원 사이트와 비교해서 상대적으로 저렴한 다운로드 이용권을 제공한다. bugs 벅스 -> mp3 이용권 구매 -> mp3 다운로드 링크30곡 다운 or 65곡 다운, 100곡 다운 -> 구매하기 휴대폰 결제 or 신용카드 or 페이코 선택 -> 구매하기 우측 상단 자신의 ID를 눌러 다운 가능 곡수 확인 가능 하나하나씩 다운로드 하지 않고 왼쪽의 체크 박스를 체크하여 여러곡을 한 번에 다운 받는 것이 편하다.다운로드 하고싶은 곡들을 검색 -> 왼쪽 체크박스 체크 -> 다운로드 이미 한 번 다운로드 했던 곡은 ".. 2019. 3. 5.
네이버 VIBE 바이브 간단 체험 후기 [비교] 네이버 VIBE 바이브 간단 체험 후기 [비교] 네이버 VIBE 바이브 간단 체험 후기 [비교]네이버에서는 네이버 뮤직, 그리고 VIBE 바이브 두 가지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네이버 뮤직은 2019년 12월에 서비스 종료가 예고된 만큼 네이버가 주력을 쏟는 것은 VIBE 라고 생각된다. 앱을 키자마자 느낀 첫 인상은 내가 바이브가 아니라 스포티파이를 켰나 싶을 정도로 유사하다는 점이다. 구체적으로 검은 색 바탕색에 플레이리스트가 두 줄로 배치된 점. 플레이리스트의 앨범아트와 그 가운데 장르 이름을 박아둔 점이 유사하게 느껴진다. 멜론, 지니, 벅스 등 기존 국내 서비스는 "온라인 잡지" 라는 느낌을 받았는데 네이버 바이브, 그리고 SKT의 플로는 스포티파이의 영향을 많이 받은 느낌을 받는다. 스.. 2019. 3. 2.
음원사이트 다운로드 비교 [멜론 vs 벅스 vs 아이튠즈] 음원사이트 다운로드 비교 [멜론 vs 벅스 vs 아이튠즈] Melon 멜론 SKT가 멜론과의 협업을 끝내고 자사의 음원 서비스인 FLO 플로를 밀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제휴 기간이 남아있어서인지 SKT T멤버십을 차감하여 다운로드 이용권을 구매할 수 있다. 장점 : SK 텔레콤 이용자일 경우 포인트를 사용해 할인율을 높게 받을 수 있음 단점 : MP3 정기결제의 경우 T'PLE, TTL, Ting, Ting junior 사용자만 티멤버십 사용 가능 단점 : 할인없는 100곡 다운로드 기준으로 4,900원 더 비쌈 단점 : 아이튠즈 스토어, Bugs 벅스와 달리 보관기간이 최초 구매일로 부터 1년이라는 점 재다운로드 서비스 지원이 1년이다. 음원을 다운받고 파일을 잃어버리거나 포맷이나 백업을 해두지 못했고 .. 2019. 2.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