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BOX14 MS 플라이트 시뮬레이터 한국어 변경하는 방법 Xbox의 퍼스트파티 게임 중 하나인 마이크로소프트 플라이트 시뮬레이터는 (Microsoft Flight Simulator), 줄여서 플심 또는 MSFS로 불린다. 한국어 패치가 적용되기 전까지는 게임의 언어가 영어로 설정되어 있어서 게임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하지만 한국어 패치는 한국 게이머들이 플심을 즐기는 데 있어서 큰 도움이 된다. 플심에 한국어 자막이 추가되었다고 해도 디폴트 언어는 영어로 설정되어 있다. Xbox Series X(XSX), XSS(엑시스) 엑스박스 콘솔 게임기에서 플심을 한국어로 설정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Microsoft Flight Simulator 한국어로 설정하기 Step 1. 엑박패드 RB 버튼 눌러서 OPTION으로 이동하기 (오른쪽 상단 트리거 버튼).. 2023. 3. 29. Xbox, 플스 콘솔에서 오버워치2 키보드, 마우스 사용하기? FPS, TPS 게임은 키보드와 마우스로 플레이하는 것이 콘솔 컨트롤러 보다 압도적으로 유리하다. 게임 패드에서는 바라보는 방향 전환과 위 아래 전환을 양쪽 아날로그 스틱으로 제어하지만 키마(키보드와 마우스의 줄임말)에서는 오른쪽 마우스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마우스로 좌클릭으로 슈팅을 하기 때문에 키마의 마우스는 컨트롤러의 여러 기능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압축되어 있다. 이러한 마우스와 키보드 WASD 버튼으로 캐릭터를 움직이는 것도 훨씬 편하고 숫자 버튼으로 무기 전환, 스킬 사용까지 컨트롤을 할 수 있다. 반면에 컨트롤러에서는 스킬 사용, 무기 전환이 트리거 버튼이 배치되어 있는데 키보드가 컨트롤 하기에 유리하다고 평가 받는다. 게다가 PC에서의 FPS, TPS 경험이 더 많은 한국의 특성상 .. 2022. 12. 28. Xbox 콘솔 절전모드 vs 대기모드 차이점 알아보기 마이크로소프트의 콘솔 게임 기기인 Xbox Series X (XSX)를 비롯하여 XSS, 엑스박스 원 등은 전력 사용과 관련된 두 개의 설정을 제공한다. 절전모드와 대기모드는 각각의 장단점이 존재하기에 특정 모드로만 사용하는 것보다는 사용자의 엑스박스 사용 성향에 따라 절전 모드와 대기 모드를 스위칭해가며 사용하는 것이 좋다. 엑스박스 콘솔 절전 모드 vs 대기모드 차이점은? 1. 절전 모드 節電, 절전이라는 말 그대로 전기를 절약하는 모드이다. Xbox 내 설명으로는 대기모드 보다 20배 정도 낮은 전력을 소모한다. 절전이라는 수식어가 붙어있을 뿐이지 그냥 Windows 컴퓨터의 시스템 종료와 같은 기능이다. 절전 모드 상태에서 엑스박스를 종료하고 엑스박스를 다시 실행하면 Xbox 특유의 부팅음과 Xb.. 2022. 8. 22. Xbox 콘솔 애플 에어팟 연결하는 두 가지 방법 마이크로소프트의 콘솔 기기인 XBOX Series X (XSX, 엑시엑), 엑시스 등과 소니의 콘솔인 플레이스테이션5는 HDR, 돌비, 4K 해상도 등 다양한 최신 기술들이 집약된 게임기이다. 하지만 여전히 블루투스를 통해서 사용자가 갖고 있는 애플 에어팟, 갤럭시 버즈, 로지텍 등 블루투스 무선 이어폰을 연결을 지원하지 않는다. 에어팟 등 무선 이어폰을 통한 게임은 가족, 지인 등 같은 공간에 있는 사람들에게 게임 소리가 들리지 않게 게임을 하고 싶을 때 필요성을 크게 느끼게 되는 기능이다. 별도의 추가 지출 없이 사용자가 갖고 있는 블루투스 이어폰을 Xbox, PS5에 페어링해서 듣는 방법으로는 크게 두 가지가 거론된다. Apple Airpods 엑스박스 연결해서 게임하는 방법 1. 스마트폰으로 원격.. 2022. 8. 15.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