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858 맥북 외장하드 윈도우에서 안 보일 때 해결 방법 개인용 컴퓨터 시장에서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가 점유율이 가장 높고 그 다음은 애플의 맥북, 아이맥에 탑재된 macOS 이다. 운영체제가 다른 만큼 각각의 OS가 탑재된 컴퓨터, 노트북에서 호환되지 않는 요소들이 존재하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이 파일 시스템이다. 애플의 파일 형식은 APFS 또는 Mac OS 확장(저널링) 파일 형식이기에 윈도우에서 외징하드를 유선 연결하여도 인식이 되지 않는다. 윈도우의 FAT은 4GB라는 한계가 존재하기 때문에 윈도우, 맥 두 개의 운영체제를 탑재한 PC에서 하나의 외장하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ExFAT 형식으로 포맷을 해줘야 한다. Windows, macOS 호환되는 범용 외장하드 만들기 Step 1. 포맷을 해야 하기 때문에, 기존 외장하드 파일을 다른 외장하드나 P.. 2022. 11. 7. 아이폰에서 대용량 동영상 PC로 전송하는 방법 아이폰, 아이패드의 카메라가 4K 60프레임, HDR, 시네마틱 모드 등을 사용한 동영상 촬영을 하면 매우 높은 크기의 비디오가 생성된다. 아이폰에 그냥 갖고만 있어도 부담이 되는 용량인데 윈도우 컴퓨터, 또는 맥북, 아이맥 등의 컴퓨터로 옮길 때도 일이 된다. 카톡을 통해 원본 파일을 전송하는 방법도 있지만 업로드하는 데 소모되는 데이터도 크며, 전송 중에 오류가 나면 전송이 취소될 확률이 있다. 결정적으로 아이폰에 업로드한 걸 다시 다운로드 받는다는 점에서 차라리 구글이나 네이버 클라우드를 사용하는 편이 낫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아이폰에 저장된 동영상을 PC로 옮기는 방법들을 소개한다. 아이폰 비디오 컴퓨터로 옮기는 방법 1. 윈도우 PC의 아이튠즈 활용하여 동영상 옮기기 윈도우하면 mp3 동기화, .. 2022. 11. 1. 아이폰, 아이패드 통신 SOS 전용 의미 알아보기 애플의 스마트폰인 아이폰과 셀룰러 모델 아이패드에서는 제어 센터를 통해서 사용자가 이용 중인 통신사와 LTE 또는 5G 등 통신 상태, Wi-Fi 연결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아이폰과 셀룰러 아이패드를 사용하다가 제어 센터를 열면 통신사와 통센 세기 아이콘이 사라지고 한국어로 SOS 전용, 영어로는 SOS Only 라는 문구가 노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아이폰에서 SOS 전용 문구가 나타나는 이유를 알아본다. 애플 아이폰 SOS 전용 뜨는 이유는? 1. SOS 전용의 의미 아이폰, 셀룰러 아이패드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않을 상황이면서 사용자의 거주 국가가 미국, 캐나다, 호주일 경우에 언어가 한국어로 설정되어 있다면 SOS 전용로 나타나며 영어로 설정되었다면 SOS only.. 2022. 10. 23. 크롬, 웨일 브라우저 필수 확장 프로그램 모음 구글의 웹브라우저인 크롬 브라우저 그리고 크롬의 크로미움을 기반으로 한 마이크로소프트의 엣지 브라우저, 네이버의 웨일 브라우저는 Chrome 웹 스토어를 통해서 확장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있다. 브라우저로 웹서핑을 하면서 부족했던 기능들을 확장프로그램으로 추가하는 것이기 때문에 가장 오랜 기간동안 운영되고 사용자도 많은 Chrome 웹스토어에 양질의 확장프로그램이 쌓여있다. 애플 아이맥, 맥북에서는 사파리 브라우저가 퍼포먼스가 더 우수함에도 맥에서 크롬의 점유율이 높은 이유 중 하나는 다양한 확장 프로그램 덕분이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크롬 계열의 브라우저를 사용할 때 유용한 확장 프로그램들을 소개한다. Chrome, Edge 브라우저 필수 확장프로그램 설치하기 1. Touch VPN 무료 VPN이 대부분.. 2022. 10. 12. 이전 1 2 3 4 5 6 7 8 ··· 215 다음